도·법무부·중수본 등 대책 발표에
대응 역량 분산·보여주기식 우려
사고수습체계 일원화 목소리 커져

25일 오전 화성시 서신면 리튬전지 공장 화재 현장에서 경찰과 소방,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등 유관기관 관계자들이 화재 원인을 찾기 위한 합동 감식을 하고 있다. 김경민기자
25일 오전 화성시 서신면 리튬전지 공장 화재 현장에서 경찰과 소방,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등 유관기관 관계자들이 화재 원인을 찾기 위한 합동 감식을 하고 있다. 김경민기자

 

31명의 사상자를 낸 ‘화성시 리튬전지 제조공장 화재’를 두고 기관별로 제각각 대응책을 내놓으면서, 체계적인 대응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25일 중부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경기도는 사고 수습과 관련해 화성시청에 통합지원센터를 설치하고 24시간 운영하기로 했다.

사망자 안치 및 부상자 입원시설에는 도 공무원을 일대일 배치하고, 각종 법률과 보험 상담을 도울 방침이다.

특히 사망자 23명 중 20명이 외국인인 만큼 유가족 필요시 항공료와 체류비, 통역 서비스를 지원할 예정이다.

법무부 또한 비상대책본부를 구성하고 유사한 방안을 마련했다.

사상자·유족 대상 법률 지원, 검찰청 범죄피해자지원센터를 통한 치료비, 장례비, 심리 치유 서비스 등을 제공할 계획이다.

수원출입국외국인청에도 비상대책반을 꾸려 유족·보호자의 입국과 체류, 통역 지원 등 업무를 수행한다.

중앙사고수습대책본부는 범정부 태스크포스(TF)를 결성하고 대책을 논의하고 있다.

중수본이 검토 중인 대책은 유가족 입국 지원, 산업재해보상 상담 안내 등이다.

하루 사이 기관별 대책이 쏟아지자, 대응 역량 분산과 함께 대책이 ‘보여주기식’에 그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와 관련 사고 수습 체계를 일원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실제로 지난 2022년 이태원 참사 발생 이후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각각 유족을 지원하는 과정에서 혼란이 빚어진 바 있다.

공하성 우석대학교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대응이 분산되면 중복 지원이나 지원 주체가 불분명해지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며 "운영 방식을 하나로 통합해 집중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반면, 함승희 서울시립대학교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통합 관리도 해야 하지만 비용은 어떻게 부담할 것인지, 실제 현장에 필요한 일인지 등 우선순위를 판가름하는 체계를 먼저 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상문·강현수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