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0년 조선의 국권피탈, 1945년 해방, 그리고 현재까지 한일관계는 여전히 평행선이다.

오늘날에도 일본은 독도를 일본 땅이라 주장하며 원전 오염수 배출 논란, 강제징용 배상금 문제 등 한국과 일본 사이의 논란과 갈등이 불거지고 있다.

책은 이러한 상황 속에서 반민특위의 역사를 조명한다.

반민특위는 ‘반민족행위’ 즉 민족에 반하는 행위를 한 친일파와 그 세력을 처벌하고자 만든 특별위원회였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동시에 만들어진 ‘반민족행위(친일파) 처벌법’에 따라 활동을 시작한 반민특위에 국민들은 열렬한 지지를 보냈다.

일제강점기 36년을 견뎌낸 국민 앞에서 마침내 나라를 팔아먹은 친일파 청산의 움직임이 태동한 것이다.

하지만 미군정의 등장과 함께 친일파 청산은 지지부진으로 끝이 났다.

저자는 미군정이 의도했든 하지 않았든 해방 직후 대한민국의 친일 관료들이 남게 된 것은 대한민국 사회의 비극이라고 설명한다.

하지만 반민특위는 결코 실패한 것이 아니다.

저자는 반민특위 활동으로 인해 대한민국에 숨어 있는 친일파의 권력과 힘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었으며 비록 제대로 된 처벌은 어려웠지만, 친일파 숙청의 필요성을 역사 속에서 증명할 수 있었다고 강조한다.

한마디로 정리하면 반민특위의 활동으로 인해 지금까지도 친일파를 향한 역사적 심판의 필요성을 제기할 명분과 수단이 남아 있다는 것.

책은 반민특위가 잘한 것은 잘한 대로, 실패한 것은 실패한 대로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해설하며 담담하게 이를 기록했다.

또한 각 책의 장 끝에는 반민특위에 관련한 상식들을 수록, 시대적 상황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미군정 시기 숨어있던 친일파는 누구인지, 독일을 비롯한 다른 나라는 어떻게 나치 협력자와 민족 반역자를 청산했는지, 친일파들의 변명 논리는 무엇인지 등 흥미로운 주제의 반민특위 이야기를 담았다.

저자는 대한민국의 건강한 시민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청산하지 못한 역사를 다시 한번 짚어야 한다고 부연한다. 청산하지 못한 역사가 다시는 되풀이되지 않도록 하나씩 바꿔가야 한다.

책은 해방 직후 혼란했던 한국 사회와 친일파 등에 대해 조망하며 반민족행위 특별조사 위원회의 활동을 낱낱이 짚어낸다.

구자훈기자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