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기업은 물론이고 모든 조직에 있어 ESG경영은 거스를 수 없는 대세가 되어가고 있다. 그러나 정보의 부족과 주관적 판단에 근거할 수밖에 없는 요소들도 많아서 ESG의 비전에는 공감하나 실행단계에서는 여러 가지 걸림돌이 존재하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기업들이 ‘이익의 극대화’만을 추구한 결과 초래된 기후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제시된 ESG는 어떤 방식으로든 계속 강조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무엇보다도 기업이 탄소감축 활동을 강화하여 환경(E)의 지표를 개선하려는 노력은 일거양득의 기회가 될 수 있다. 앞으로 기후위기가 악화되면 될수록 이를 해결하려는 국제사회의 노력은 더욱 가속화될 것이고 이렇게 되면 기후기술이나 서비스에 대한 투자 및 시장은 폭발적으로 늘어날 수밖에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훌륭한 기후기술이나 서비스는 큰 기대 수익이 예상되면서도 지속가능한 지구생태계를 만드는 데도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탄소감축 활동은 ESG의 환경(E)과 사회(S)에 가점요인이 되는 일거양득의 활동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사회(S)나 지배구조(G)는 평가에 있어 논란의 여지가 많다. 예를 들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벌어들인 수익으로 기부활동을 하면서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것 같은 이른바 ESG 워싱을 가려내기가 어려우며, 지배구조의 경우도 창업주의 결단과 불가능한 도전을 서슴지 않는 기업가정신 같은 것은 소홀히 다루어질 위험이 있다. 사실 독단적 결단에 의해 이루어진 사업이 결과적으로 이 세상을 이롭게 하는 경우도 많이 있기 때문에 지배구조를 투명하게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 보다 더 중요한 것이 바로 기업가정신 같은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지구적 관점에서 기후위기를 극복하고 양극화를 해소하고자 하는 지구적 가치를 추구하려는 의지와 도전을 높이 평가해야 한다.

따라서 투자자들의 권리보호를 위해 기업의 투명한 경영방식도 강조되어야겠지만 기업가의 비전과 열정 그리고 도전정신이나 기업의 지속가능한 비전 등이 보다 비중 있게 다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또한 이를 실천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론이 존재 하는가도 중요하며, 그것을 적극적으로 실천한 결과에 대해서도 꼼꼼히 따져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할 것이다. 다시 한 번 강조하지만 ‘이익의 극대화’라는 목표를 그대로 둔 채, ESG경영을 추구한다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 일이라고 생각하기에 이참에 보다 적극적인 의미의 ESG의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무엇보다도 조직의 비전이 명확하게 달라져야 하는 것이 최우선과제이다. 제로베이스에서 과연 이 사회를 위해 어떤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가에 대한 깊은 성찰을 통해 비전을 설정하고 조직을 재구성해야 한다. 그리고 이런 일련의 활동이 ESG평가에 있어 적극 반영되어야 한다. 그래서 기업의 비전을 보면 이 기업이 진정으로 ESG를 추구하려는 기업인지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그런데 그 비전은 반드시 지구적 가치를 담고 있어야 하며 앞서 기후기술과 같이 선 가치창조 후 지속가능한 이익 확보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록 작은 일을 하는 기업일지라도 지구적 가치를 염두에 둔 비즈니스모델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기후위기는 인류공동체가 함께 풀어야 할 과제이기 때문에 전 지구인이 운명공동체라는 인식을 갖도록 하려면 모든 조직이 지구적 관점으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적당한 용어로 Global Good을 사용하고자 하는 데 Global Good은 보다 광범위한 의미를 가지며, 인류 전체의 이익과 복지를 추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우리 전통사상인 홍익인간 정신과도 연결되며 더 큰 철학적,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는 것으로, 기업이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동시에 인류의 복지와 지속 가능한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자는 의미를 담고 있다.

따라서 지금의 ESG를 ESGG (Ethical Sustainable Global Good)로 대체하고자 한다. ESGG는 기업이나 조직이 지속 가능한 발전을 추구하면서도, 지성적이고 윤리적인 가치를 고려하여 인류 전체의 이익과 지구적 가치를 추구하는 경영을 의미한다.

ESGG를 통해 기업이나 조직의 지구적 가치에 기여하는 정도를 평가하고 이러한 기업이 나 조직이 많아진다면 그것이 바로 기후위기를 극복하고 새로운 문명으로 나아가는 지표가 되지 않을 까 생각한다.

전하진 SDX재단 이사장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