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1월 30일 미국의 인공지능연구소 오픈AI가 대화 전문 인공지능(AI) 챗봇 ‘챗GPT’를 공개했다.

서비스 개시 5일 만에 하루 이용자가 100만 명을 돌파하는 등 초기부터 세간의 폭발적 관심을 끌어 모았다.

이후 이용자 수는 더욱 폭발적으로 증가했고, 일일 사용자 1천만 명은 우스워졌다. 그만큼 이 서비스에 관한 바이럴도 확산했다.

초기엔 영어로만 사용할 수 있어 불편함이 있었으나, 금세 한글 서비스가 제공됐다.

대화 전체의 문맥과 관계없이 질문에 답만 던지던 기존 챗봇과 달리 대화의 맥락을 파악하고 답한다는 게 이 서비스의 대표적 특징이다.

주제만 던져주면 논문이나 연설문을 작성하고, 인간의 감성을 자극할 만한 시나 수필도 금세 쏟아낸다. 작곡이나 편곡도 척척 해낸다. 챗GPT의 대단한(!) 능력이 다양한 소통 도구를 통해 끊임없이 회자되고 있다.

분위기는 해당 서비스 혹은 기술 자체에 대한 감탄으로 그치지 않는다.

MS는 자사 검색 엔진에 이 기술을 장착해 업그레이드해 이용자 수를 크게 늘렸고, GM은 자사 차량에 이 기술을 적용할 방안을 모색한다고 밝혔다. 우리나라 IT 기업들도 챗GPT 서비스를 속속 도입하고 있다.

챗GPT의 거짓말, 정보의 편향성 등 경제사회 분야 전문가들이 지적하는 여러 문제점과 우려, 논란 역시 끊이지 않고 있다.

특히 이용자가 정보를 선별하고 선택하는 과정이 생략되고 챗GPT가 제시하는 정보를 그대로 수렴할 위험성에 전문가들은 주목한다.

이전의 모습에서 약간이라도 개선된 기술에 환호하는 대중 앞에 ‘주의’라고 적힌 경고등이 켜진 것이다.

그러나 이 같은 우려 속에도 해당 기술의 확산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신기술 도입에 무조건 박수치기보다는 제대로 활용할 줄 아는 신중함을 앞세우는 건 우리 스스로의 몫이다.

박지영 지역사회부 기자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