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한국에 뿌리 내린 이방인

피부색이 다른 한국인이 총인구 대비 4%를 넘어섰다. 이들은 이제 단순 업무를 하는 노동자가 아닌, 국내 전문 인력으로서 자리잡아 가고 있다. 또 외국인들은 한국에서 가정을 이뤄 한국사회를 이끌어 가는 한 축이 됐다. 중부일보는 3회에 걸쳐 한국에서 다문화 가정을 꾸린 이들, 그들이 한국 사회에 정착할 수 있도록 긴밀한 관계를 갖고 있는 다양한 기관의 목소리를 듣고 다문화 가정을 위해 어떤 제도적 장치가 필요한지 함께 고민해 보고자 한다. -편집자 주-

'한민족·단일민족' 개념은 옛말
국내 정착 외국인 총인구의 4.4%
이중 59.4%가 수도권 거주 중
안산, 외국인주민 10만명 이상
전국 상위 5위권 모두 경기도

‘한민족’, ‘단일민족’은 한국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단어다. 이제는 한국이 한민족 국가라는 것도 옛말이 됐다.

단일민족이었던 한국에 타국으로부터 온 이들이 늘어나며, 국내에 정착해 가정을 꾸려 살아가는 다문화 가구 수가 점점 더 늘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통계청의 ‘2022년 시도별 외국인주민 현황’에 따르면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 주민 수는 225만8천248명이다. 총인구 대비 4.4%의 사람들이 외국인 주민인 셈이다. 전체 외국인 주민 중 59.4%인 134만681명이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다. 안산시는 전국 200여개의 기초지방자치단체(이하 기초단체) 중 가장 많은 10만1천850명이 거주하고 있다. 외국인 주민이 10만명 이상인 기초단체는 안산시가 유일하다. 수원시(6만8천633명), 시흥시(6만8천482명), 화성시(6만6천955명), 부천시(5만5천383명)가 안산시에 이어 외국인 주민이 가장 많이 거주하는 기초단체 2~5위에 이름을 올렸다.

챗GPT4에서 국내 거주하는 외국인 얼굴 반반 합성 이라는 프롬프트를 입력해 생성한 이미지. DALL-E3제작
챗GPT4에서 국내 거주하는 외국인 얼굴 반반 합성 이라는 프롬프트를 입력해 생성한 이미지. DALL-E3제작

이주여성·국제결혼 급증 영향
정부 다문화가정 복지 다양화
정책 타국서 벤치마킹할정도

외국인 주민이 증가하는 것에 맞춰 다문화 가정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지난 2018년 다문화 가구 수가 100만을 돌파한 후 ▶2019년 106만2천423가구 ▶2020년 109만3천228가구 ▶2021년 111만9천267가구 ▶2022년 115만1천4가구로 증가했다.

전문가들은 단일민족이라는 자부심이 강했던 한국에 외국인 주민과 가정이 증가하고 있는 건 결혼을 통한 이민 여성들의 수 증가와 국제결혼이 급증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한다.

통계청의 ‘2012 연도별 우리나라 국제결혼 현황’ 의하면 1990년 4천710건에 불과했던 국제 결혼이 2005년도에는 4만3천121건으로 증가했다. 2005년 국제결혼 비율은 전체 결혼 비율의 13.6%를 기록했다.

정부도 변해가는 국내 상황에 발맞춰 다문화 가정에 대한 다양한 복지 제도를 도입하고 있다.

다문화가족지원센터 관계자들은 한국이 다문화 인구가 급증했던 초기부터 정부가 발 빠르게 복지 제도를 정립·시행해 왔기에 지금까지도 다문화 관련 정책을 타국에서 벤치마킹해 갈 정도라고 입을 모은다.

그러나 정부의 제도가 다문화 가정의 ‘초기 정착’에만 집중하고 있는 점을 지적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2000년도 초에 입국해 다문화 가정을 국내에서 꾸리고 살아가는 이들은 현재 40~50대의 중장년층이 됐기 때문이다.

15년 이상 다문화 가구 39.9%
40~50대 중장년 비율 24%나
초기정착 지원 집중 한계 지적

여성가족부의 2021년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에서 ‘15년 이상’ 국내에서 거주하고 있는 가구가 39.9%로 조사됐다.

결혼이민자들의 정착주기 장기화로 평균 연령대가 높아지며 30세 이상인 이들이 눈에 띄게 늘었다. 그중 40~49세의 비율이 24%에 속한다. 60세 이상의 인구는 9.2%로 지난 2018년 대비 2.7%p 상승했다.

신연경기자·윤수민인턴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