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대한민국은 1인 가구라는 표현이 어색하지 않을 정도로 낯설지 않은 시대에 접어들었다.

1인 가구에 대한 정의는 다양하게 나타나지만, 공통적으로 혼자 살며 생계를 잇는 가구를 가리킨다. 현행 건강가정기본법에는 ‘1명이 단독으로 생계를 유지하고 있는 생활단위’로 정의돼 있으며, 통계청은 ‘혼자서 살림하는 가구’(1인이 독립적으로 취사, 취침 등의 생계를 유지하는 가구)를 1인 가구로 보고 있다.

최근 몇 년간 고령화, 결혼율 감소 등의 사회적·경제적 변화로 인해 전국적으로 1인 가구의 비율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통계청의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를 보면 2010년 23.9%였던 우리나라 1인 가구 비중은 2022년 34.5%로 집계됐다. 최근 12년간 10%p 넘게 늘어난 수치다.

경기도 역시 지난 2010년 20.3%를 기록한 데 이어 2022년에는 30.2%로 집계되는 등 심각한 수준으로 치닫고 있다. 이는 같은 기간 3인 가구(전국 21.3%→19.2% , 경기 22.7%→21.3%)와 4인 이상 가구(전국 22.5%→13.8% , 경기 26.3%→16.6%)의 비중이 모두 줄어든 것과 대조적이다.

이대로라면 2050년 국내 1인 가구는 39.6%(통계청 장래가구추계)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측됐다.

이러한 변화의 배경에는 여러 요인이 있다.

첫째, 경제적 독립을 추구하는 개인주의자들이 증가하고 있고, 둘째로는 결혼을 기피하거나 늦추는 경향이 커지면서 젊은 세대 중심으로 1인 가구가 늘고 있다.

셋째,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홀로 사는 노년층 인구가 늘어나는 추세가 보편화된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전 연령층의 1인 가구가 공통적으로 사회경제적인 면에서, 그리고 정서적·육체적 건강 면에서 다인 가구에 비해 현저히 취약하다는 데 있다.

이는 1인 가구를 이루고 사는 사람들 개개인의 위기인 동시에 사회가 해결해야 할 문제이다. 1인 가구와 관련된 정책은 각 연령대 및 성별 1인 가구의 특성에 따른 맞춤형 지원책과 보편적으로 적용되는 가족 관련 정책이라는 두 가지 차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청년층 1인 가구를 지원하는 일자리 창출 및 취업 훈련과 사회적 안전망 지원 정책, 중년층 1인 가구를 위한 빈곤과 주거 및 건강 지원 정책, 그리고 노년층 1인 가구를 지원하는 다방면의 자조적·사회적 부양책 등이 보강되어야 한다.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가구 구성이 원자화되고 다양화되는 현실을 반영하기 위해 가족 관련 정책의 방향 전환을 모색해야 한다.

대표적으로 혼자이기에 취약할 수 있는 건강, 경제 자립, 사회적 관계 등에 대한 유기적인 정책적 지원 체계를 갖추는 게 강조되고 있다. 특히 ‘1인 가구’ 집단 내에서도 세대별로 특성이 다르게 나타나는 만큼 청년, 중장년, 노년 등 대상별 특성을 반영해 맞춤형 1인 가구 정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1인 가구의 증가는 우리 사회에 뚜렷한 변화를 가져오고 있으며, 이에 적응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각계각층이 이러한 변화를 이해하고 포용적인 접근을 통해 1인 세대가 보다 쾌적하고 만족스러운 생활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나가야 할 것이다.

정승현 경기도의회 의원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