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과 관계없이 유연한 근무조건이나 발전 가능성 등 근무여건이 좋은 직장일 수록 젊은 여성 고학력 근로자가 상대적으로 많이 종사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2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근무 여건 선호와 노동시장 변화’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경제활동인구조사 임금근로자 부가 조사에서 직업 선택 시 고려사항으로 ‘근무 여건’의 비중이 31.5%를 기록하며 ‘임금 수준(26.8%)’를 크게 웃돌았다.

한은은 유연근무·재택근무·육체적 강도·업무 강도·자율성·독립성·발전 가능성·직업 보람 등을 근무 여건을 구성하는 8개 요소로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직업별 근무 여건 지수를 산출했다.

이 같은 분석 결과 법률·감사 사무 종사자, 상품기획·홍보·조사 전문가, 법률 전문가, 디자이너, 기타 교육 전문가, 작가 및 언론 전문가, 대학교수·강사 등이 근무 여건 상위 직업으로 분류됐다. 반대로 건설·광업 단순 종사자, 물품 이동 장비 조작원, 건설·채굴 기계 운전원, 하역·적재 종사자 등은 근무 여건 하위 직업군에 속했다.

이를 성·연령·학력수준별 근무 여건 지수와 비교하면 여성·저연령층, 고학력자일수록 남성·고령층, 저학력자보다 근무 여건이 좋은 직업에 더 많이 종사하고 있었다는 결과가 나온다.

이수민 한은 조사국 고용분석팀 과장은 "여성의 경우 육체적으로 힘들지 않고 유연한 근무가 가능한 일자리를 더 선호하기 때문"이라며 "아울러 고학력 근로자도 육체적 능력이 덜 필요한 인지적 일자리, 개인 발전 가능성이 큰 전문직 일자리에 근무하는 것으로 해석된다"고 설명했다.

연령 특징에 대해서는 "고령층의 경우 근무 여건에 대한 선호나 만족도는 높지만, 낮은 교육 수준 등 때문에 취업 계층에서 밀려 근무 여건이 좋은 일자리에 종사하는 비중이 작았다"고 덧붙였다.

한편, 근무 여건을 화폐적 가치로 환산할 경우 소득 5분위 배율(상위 20%/하위 20%)은 4.0에서 4.2로 커졌다. 고소득 근로자일수록 근무 여건이 좋은 일자리에 주로 종사하기 때문이다.

이 과장은 "앞으로 경제활동인구에서 여성과 고령층의 비중은 점차 늘겠지만, 근무 여건에 대한 이들의 선호를 고려하면 근무 여건이 나쁜 일자리의 인력난은 더 심해질 것"이라며 "정책 지원 등을 통해 유연한 근무 여건 등을 제공해야 이들의 노동시장 참여를 유인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이성관기자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